백지장도 맞들면 낫다’.


사전적 의미로는 쉬운 일이라도 협력하여 하면 훨씬 쉽다는 뜻이다.


아무리 쉬운 일도 협력하면 더 쉬운데어려운 일을 협력하면 쉬워지는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그 수가 늘어난다면 더더욱.


그런데 이런 점이 사람의 감정에도 적용이 되는 것 같다.


예를 들어 한 가지 잘못을 저지른 것이 개인이 아니라 집단이라면,

해당 집단의 구성원은 자신의 잘못과 죄책감을 1/n로 나눈다자신의 책임을 회피하는 것이다.


자신은 1/n만큼혹은 그 이하만큼만 잘못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다른 사람에게 그 책임을 전가한다.




이러한 현상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이 바로 SNS이다.


세계 최고의 IT강국의 위상에 걸맞게인터넷이 가장 발전한 나라인 한국.


장점이 많은 만큼반대로 그로인한 부작용들이 많이 이슈가 되고 있다.


악플을 남기고그 악플의 대상이 되는 피해자가 극도의 공포감에 자살을 한다면?


아마 악플을 남긴 사람들은,

나 혼자 쓴게 아니니까.’ ,

내가 쓴 건 영향 끼치지 않았을 거야.’ ,

틀린 말을 하진 않았잖아?’


등의 책임을 회피하는 의식을 하게 된다.


일종의 자기방어자기합리화라고도 한다.





혹자는 이러한 현상이 인터넷의 익명성 때문에 그런다고 생각을 한다.


인터넷은 자신과 관련이 없는 세상이고자신이 누군지 모르기 때문에 쉽게 악플을 단다고 한다.


개인적으로 생각했을 때저게 틀린 말은 아니지만 근본적인 원인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첫째페이스북 같이 실명을 걸고 하는 SNS에서도 악플은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둘째현실에서도 마녀사냥은 쉽게 찾아볼 수 있다직장이나 학교 내 따돌림 사건 같이 말이다.





첫 번째의 경우타인에게 욕을 하는 소위 공격자들은 자신이 나름대로의 정의를 갖고 있다고 생각한다.


저 사람은 충분히 욕먹을 만 해.’ 그렇게 생각하면서 공격자는 자신이 욕하는 대상과 똑같은 짓을 저지른다.


두 번째의 경우는 일종의 대중심리의 영향이 크다.


다른 사람들이나보다 더 높은(사람이 하는 행동을 보고따라하는 것이다.


왠지 나도 그래야 이 집단에서 배제되지 않을 것 같기 때문에.


왠지 나도 그래야 할 것 같기 때문에.




영화 <소셜포비아에서는 잘 한 사람이 한 명도 나오지 않는다.


인터넷 상에서 사칭이나 학력 위조 등의 잘못이 있는 사람들의 신상을 털고 공격을 하는 하영이나,

그런 하영에게 복수하기 위해 SNS를 해킹해서 남자들을 도발한 도더리’ 용민,

용민에게 이끌려 하영에게 악플을 남기고그녀를 찾아간 주인공 지웅.


그리고 그들을 비난하는 제 3자 네티즌까지.


모두가 가해자인 동시에 피해자가 되고 있는 아이러니인 셈이다.





그들에게는 여러 가지의 원인과 동기가 있지만두 가지의 공통점이 있다.


모두 자신의 행동이 이러한 결과를 불러올 줄 몰랐다는 것.


그리고 자신의 잘못을 타인에게 회피한다는 것.


그러한 점은 하영의 자살과 그것이 자살이라는 것을 인정하지 못하고

타살일 거라는 이유를 찾아내서 존재하지도 않는 범인을 찾는 데에서 나타난다.


그들은 기어코 가짜 범인을 만들어내 자신의 죄책감을 지운다.


자신의 죄책감을 대신 짊어질 사람을 찾는 것이다.




죄책감도 맞들면 낫다.


하지만 사람들은 일말의 죄책감마저 다른 사람에게 떠넘기고 자신은 깨끗해지길 바란다.


그리고 그로 인해 또 다른 희생자가 발생하는 악순환이 시작된다.


이러한 문제는 역시 개개인의 의식이 변화되는 것 말고는 해결책이 없는 것일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