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복합적 감정의 동물이다. 하루에도, 아니 찰나의 순간에 수많은 감정들이 교차하기도 한다. '인사이드 아웃'은 그러한 감정과 그 변화들을 캐릭터를 통해서 재미있게 풀어서 보여주고 있다.

(일단 인간의 감정을 캐릭터화 시켜서, 그들이 조종을 함으로써 인간의 감정이 바뀐다는 상상을 해낸 제작진에게 박수를 보낸다. 특히 이 영화의 장점은 애니메이션답게 풍부한 상상력과 겉으로 보면 굉장히 단순해보이는 스토리를 갖고 있지만, 그 안에 내포하는 의미가 커서 어린아이는 물론 성인까지, 남녀노소 불문하고 재미있게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영화에서 주목해야할 포인트는 인간에게 가장 큰 감정을 차지한다고 볼 수 있는 기쁨과 슬픔일 것이다. 영화를 보면서 나는 한 가지 의문점이 발생되었다. 왜 다른 아이들은 제각각 색이 다른데, 기쁨이와 슬픔이만 같을까? 그 둘은 머리카락과 눈동자의 색이 푸른 색으로 같았다. 처음에는 대수롭게 여기지 않고, 그냥 그러려니 했지만 후반부에 들어서야, 아하! 하고 이해할 수 있었다.





영화의 중반부까지는 슬픔이는 부정적, 그 자체였다. 기쁨이의 주도 하에 라일리의 기억은 행복한 기억들로 가득 찼다. 하지만 라일리의 가족이 미네소타에서 센프란시스코로 이사하면서부터 슬픔이는 자기 멋대로 행동하기 시작했다. 그런 슬픔이 때문에 기쁨이는 깜짝 놀라 그녀를 제지하려고 하지만, 슬픔이는 기쁨이의 말을 듣지 않았다. 갈수록 상황을 악화시키며, 핵심 기억들까지 행복했던 기억에서 슬픈 기억으로 바꿔버리려고 하고 만다. 결국 그러한 소란 속에서 기쁨이와 슬픔이는 불의의 사고로 인해 장기기억장소로 튜브를 타고 이동하게 되었다.





그 이후로 다른 감정들이 기쁨이를 대신해보려고 하지만 소용없었다.  결국 기쁨이와 슬픔이는 그곳을 헤매며 본부로 돌아갈 길을 찾아나선다. 그러는 와중에 라일리는 점차 돌이키기 힘들 정도로 감정과 기억들이 망가져간다. 그 와중에 슬픔이는 기쁨이에게 도움이 되지는 못할 망정, 드러누워버리면서 극혐의 결정체를 보여준다. 여기까지만 봐서는 슬픔이라는 감정은 정말 아무짝에 쓸모없는, 도움이 1도 안되는, 라일리에게서 필요가 없는 감정으로만 비춰졌다. 차라리 슬픔이를 버리고 가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정도로 말이다.






서둘러 본부로 돌아가야하는 그들에게 나타난 라일리의 상상속의 친구 '빙봉'을 만나며 돌아갈 실마리와 함께 결정적인 깨달음 하나를 얻게 된다. 그것은 바로 기쁨과 슬픔은 필요충분조건이라는 것. 이 깨달음을 주는 가장 결정적인 것은 바로 빙봉 덕분이었던 것이다. 그 전까지 기쁨이는 긍정의 힘으로 슬픔을 이겨내기 위해 노력해왔다. 더러운 것을 깨끗한 것으로 덮어버리듯 말이다. 라일리가 가족과 이사왔을 때, 기대 이하의 집상태에 가족들 분위기가 안좋자, 부모님에게 장난을 걸면서 그 분위기와 기분을 이겨내려고 하듯. 이처럼 빙봉이 달나라로 갈 로켓을 잃어버렸을 때, 기쁨이는 긍정의 힘으로 그를 위로해보려 한다. 하지만 빙봉은 더욱 서럽게 펑펑 울 뿐이었다. 당황한 기쁨이를 제치고 슬픔이는 빙봉에게 다가가 그에게 '공감'해주었다. 그를 억지로 위로하고, 조언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그를, 그리고 그의 감정을 '존중'하며 같이 슬픔을 느껴주었다. 그러자 곧 빙봉은 감정을 추스르고, 다시 밝은 모습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현대 사회에는 무작정 긍정적인 모습을 강요하고 있다. 긍정의 힘이다, 좋은 일만 생각해라, 슬픔을 이겨내라, 힘내라, 하지만 그런 말을들은 우리는 과연 힘이나는가? 만약 당신이 힘이 났다면, 그것은 그의 '말'때문인가, 아니면 그가 자신을 생각해주는 '마음'때문인가? 아무래도 후자일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그것도 작은 일에서나 그 마음이 도움이 되지, 자신이 감당하기도 힘들 정도로 큰 일 앞에 좌절하고 슬퍼할 때, 누가 다가와서 힘내라, 화이팅, 다 잘될거야 따위의 말을 해댄다면 과연 힘이 나던가? 기분이 좀 풀어지던가? 혹은 실연을 겪거나 위기에 봉착해서 자신에게 고민상담을 하는 친구에게 거침없고 누구나 생각할 수 있는 뻔한 방법론적인 조언을 해주면 그 친구가 좋아하던가? 아니다. 그들에게 필요한 것은 어설픈 조언이나 위로 아니라 자신의 슬픔을 '공감'해주는 것이다.






누군가 그랬다. 자신이 정말 너무 힘들어서 이겨내기 힘들 때, '그럴 땐 힘이 드는게 당연한거야. 힏들땐 힘 내지 않아도 돼. 힘이 안나는데 어떻게 힘을 내겠니.' 라는 말이 너무나도 자신에게 위로가 되었다고. 자신이 실연에 빠져 괴로워할때, '너보다 더 괴로운 사람도 많다. 네 고통은 아무것도 아니니 이겨내라.' , '세상에 여자는 많다', '시간이 지나면 다 잊혀진다' 따위의 말을 하는 것보다 '괜찮니?' '정말 힘들겠다.' '그럴땐 펑펑 울어도 돼' 하고 말해주는게 도움이 되지 않던가?





큰 것을 갖고 있는 것은 좋지만, 역시 큰 것을 잃었을 때의 상실감은 그만큼 크다. 즉, 행복한 나날들이 일거에 사라진 라일리의 감정은 슬플 수밖에 없을 것이다. 하지만 그것을 긍정이라는 것으로 슬픔을 억누르고 덮으려고 해봤자, 그 슬픔은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속에서 더욱 곪아버려 언젠간 터져버리고 만다. 그것이 파란 구슬을 기쁨이가 만지더라도 다시 돌아오지 않는 이유이다. 자신이 슬플때는 우는 방법 등으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감정의 배출, 카타르시스)를통해서 그 슬픔을 소비해야한다. 그래야 그 슬픔이 사라진 자리에 다시 기쁨이 들어찰 수 있는 것이다.





인간에게 쓸모없는 감정은 없다. 마지막에 여러가지 색들이 알록달록 빛나는 구슬들처럼, 여러가지 감정들이 조화롭게 어울려야 비로소 진정한 감정을 가진 인간이 될 수 있다. 기쁨이 지나치게 주도권을 쥐고 있으면 억눌린 슬픔이 언젠가 터지듯, 모든 감정들이 치우침없이 조화롭게 분배되고, 또 그러한 감정들을 부정하지 않고 표현하고 존중해야 한다. 우리가 소중한 만큼, 우리의 감정 또한 소중하다. 그들을 존중하고, 그들이 느끼는대로 느끼자. 




+ Recent posts